서울 117년 만에 기록된 11월 폭설
(2024년 11월 27일 주요 뉴스) 27일, 서울은 1907년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후 117년 만에 11월에 가장 많은 눈이 내리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이날 오전 7시 기준, 서울 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에서 관측된 일최심 적설은 16.5cm로, 이전의 1972년 11월 28일의 12.4cm를 넘어섰습니다. 이 기록은 서울의 11월 적설량에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폭설의 원인과 지역별 적설량

이례적인 눈 폭탄의 원인은 현재 한반도 북쪽에 자리한 절리저기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절리저기압은 대기 상층의 제트기류가 구불구불하게 흐르며 일부가 분리되면서 형성되며, 북극의 찬 공기를 머금고 있습니다. 이 찬 공気が 따뜻한 서해상을 지나면서 대기와 바닷물 간의 온도 차이로 인해 눈구름대가 만들어졌습니다. 특히, 서해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2도 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눈구름대의 덩치를 키웠습니다.

서울의 각 구별로 보아, 성북구와 강북구에서는 각각 20.6cm와 20.4cm의 눈이 쌓였으며, 서대문구 17.2cm, 도봉구 16.4cm, 은평구 16.0cm, 마포구 14.1cm, 관악구 12.2cm, 동대문구 12.0cm, 노원구 11.4cm 등의 순으로 10cm가 넘는 눈이 쌓였습니다. 반면, 강남3구 등 서울 남동쪽 지역에는 비교적 적은 눈이 내렸습니다.

교통과 일상 생활에 미친 영향

이번 폭설로 서울과 그 주변 지역의 교통과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많은 눈으로 인해 도로가 얼어붙고, 미끄러짐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특히, 아침 출근 시간에는 도로가 꽉 막혀, 많은 시민들이 출근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서울 지하철 1~8호선은 출근 시간대 러시아워 운행 시간을 30분 연장하기도 했습니다.

원거리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들은 특히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많은 시민들이 자동차 출근을 포기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했으며, 버스와 지하철의 운행도 지연되었습니다. 또한, 하늘길도 막혀, 전국 공항에서 항공기 결항과 지연이 발생했습니다.

피해와 대응

폭설로 인한 피해도 다양하게 보고되었습니다. 가로수와 전신주가 쓰러지면서 정전 피해가 발생했으며, 도로 위의 눈으로 인해 교통 사고도 잇따랐습니다. 경기 양평군에서는 제설 작업을 하던 70대 남성이 숨지는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서울시와 관련 기관들은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제설 비상근무를 2단계로 격상하고, 일부 도로를 통제했습니다. 시민들은 안전에 유의하며, 특히 밤부터 다음날 오전까지 다시 서해상에서 발달한 눈구름대가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강한 눈이 내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앞으로의 날씨 예보

기상청은 28일까지 수도권과 강원 내륙·산지, 충청 내륙, 전북 동부, 경북 북부 내륙, 경남 북서 내륙에 다시 서해상에서 발달한 눈구름대가 유입되면서 강한 눈이 내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울은 28일까지 3~8cm(최대 10cm 이상)의 눈이 더 내리겠으며, 내일 오전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비나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과 주의사항

이번 11월 폭설은 서울과 전국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시민들은 앞으로의 날씨 예보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하며, 특히 교통 안전과 시설물의 안정성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추위에도 대비하여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상청의 지속적인 예보와 경보를 통해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앞으로도 계속되는 추위와 눈보라에 대비하여, 모든 시민들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