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19일 주요 뉴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13조8000억원으로 집계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증가는 주로 수도권 주택거래가 활발했던 영향과 주택담보대출의 급증, serta 신용카드 사용액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계신용 증가의 배경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대부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을 더한 포괄적인 가계 부채를 의미합니다. 지난 3분기 동안 가계신용 잔액은 2분기 말보다 18조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이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분기보다 19조4000억원 늘어, 2021년 3분기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수도권 주택 매매가 활발했던 영향으로, 주택 매매 거래가 시차를 두고 대출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급증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은 특히 두드러졌습니다. 3분기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112조1000억원으로, 이는 2분기보다 19조4000억원 증가한 것입니다. 이 증가는 예금은행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상호금융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에서도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했습니다.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4분기 5만3천호에서 올해 1분기 5만9천호로 늘었고, 2분기와 3분기에는 각각 8만3천호와 9만6천호로 증가했습니다.
신용카드 사용액의 증가
추석 연휴 등의 영향으로 신용카드 사용액도 증가했습니다. 판매신용 잔액은 2조원 증가한 118조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에서 주로 나타난 현상입니다. 김민수 팀장은 “추석 연휴 등에 신용카드 사용 규모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대출 규제와 향후 전망
금융당국은 가계 빚이 빠르게 증가하자, 9월부터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했습니다. 이 대출 규제의 정책 효과는 4분기 이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은 가계부채가 늘고 있지만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으며,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점진적으로 하향 안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민수 팀장은 “당국의 2단계 스트레스 DSR 등 거시 건전성 정책과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으로 9월 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다”며 “수도권 주택 거래 증가 속도도 더뎌진 만큼, 주택거래에 1∼3개월 후행하는 주택담보대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대출 증가세 둔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결론과 인사이트
가계빚의 역대 최대 기록은 경제적 및 금융적 정책의 변화와 소비자 행동의 변화로 인한 결과입니다. 가계는 주택 구입을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신용카드 사용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정책과 함께 주택 시장의 동향에 따라 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계는 대출과 신용카드 사용을 신중하게 관리해야 하며, 금융당국의 정책 변화를 주시해야 합니다. 또한, 가계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점진적으로 하향 안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조치들이 가계의 재정 안정과 경제 전체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